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의 가능성

2022. 3. 9. 17:30캐리의 데이터 세상/데이터 정보

반응형

과학기술&ICT  정책·기술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S&T GPS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의 최신 이슈 분석 주제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의 가능성에 대한 글 정리해 봅니다. 원문은 사이트에서 확인 및 PDF 다운도 받을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의 개념, 주요 플랫폼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 (Universe)의 합성어로서 미국 소설가 닐 스티븐슨의 스노우 크래쉬(Snow Crash)라는 소설에서 나오는 가상 세계를 지칭하는 이름으로 처음 알려졌습니다. 처음 소개된 메타버스는 다양한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등장하였고, 최근에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통하여 표현되고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세상, 디지털 세상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크게 게임기반, 소통 중심, 협업 중심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

  • 게임 기반 메타버스(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 소통 중심 메타버스(이프랜즈, 제페토)
  • 협업 중심 메타버스(게더타운, 메쉬)

 

 

주요국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 현황

1) 미국 : 연방정부(교육기술부)와 다양한 IT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하여 모든 교육 단계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
시행

  • 연방 교육부 산하 교육기술부*는 AI, AR, VR과 같은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적극적인 교육을 권장하고 있음
  • Off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OET OET가 2017년 첫 발간한 국가교육기술계획*을 2021년 업데이트하여 디지털 학습(digital learning)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기금을 조성
  • National Education Technology Plan, NETP -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학교 수업 환경에서의 VR 콘텐츠를 개발・활용하고, 3D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의 주도적 학습의 동기 강화

 

2) 일본 

일본은 2017년 AR과 VR 기술 증진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종합전략을 발표, 2025년까지 학교 교실에 AR과 VR 교육 환경 구축이 목표

  • ICT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하여 2018년 이후 5년간 약 1조 8천억 원의 예산 지원을 약속한 바 있음
  • 2018년 발표된 미래투자전략과 소사이어티 5.0 시대에 요구되는 초중등교육 개혁의 하나로 온라인 학습, AR, VR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과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을 강조하고 있음

 

 

 

3) 독일 : 독일의 연방정부는 ‘학교를 위한 디지털 협약(Digitalpakt Schule)’을 통하여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디지털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에 예산 지원(한화 50억 유로) 약속

  • ‘학교를 위한 디지털 협약’은 학교에 디지털 활용 교육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고, 학교 기반 시설 개선 및 교사들의 장비 지원의 내용 포함
  • 본 협약을 통하여 학교는 VR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VR 장비를 비롯한 콘텐츠 구매 비용을 교부 가능
  • 이와 더불어 2023년까지 국가 교육 플랫폼을 구축하여 모든 교육 단계에서의 원활한 디지털 기반 교육이 가능한 환경 제공

 

4) 캐나다 : 연방정부 혁신과학경제개발부*는 2017년 캔코드 정책**을 도입하여 K-12까지 모든 학생이 디지털 기술 기반의 교육과 코딩 교육을 받을 기회 제공
* Ministry of Innovation,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t
** CanCode Initiative

  • 캔코드 정책을 통하여 연방정부는 다양한 기술 기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비영리 교육단체를 선정하고 이에 관련 예산 교부
  • 특별히 온타리오(Ontario) 주에서는 ‘가상 학습 전략’*을 수립하고 직업교육과 고등교육, 평생교육에서의 5천만 캐나다 달러의 예산지원 약속 * Virtual Learning Strategy

 

국내 메타버스 활용 교육 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교육을 비롯한 6대 분야(교육, 제조, 의료, 선설,유통, 국방)에서의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메타버스 연합’을 출범(’ 21.5), 메타버스 관련 정부 부처 및 산업계와 학계를 중심으로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가상 융합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관련 영역과 참여 기관을 확장하고, 메타버스 관련 기술 동향 공유
- 2021년 9월부터 교육부는 교육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교육 회복의 큰 타이틀 아래 확장가상세계 등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협력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

  • 서울시교육청과 부산시교육청을 비롯한 다수의 교육청에서는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수학, 과학 등 교과 프로그램을 설계 및 확산
  • 교사 대상 연수를 통하여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소개하고 이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커리큘럼을 개발・확산하는 노력 중
  • 한국 교육개발원, 한국 교육학술정보원과 같은 교육 관련 연구원을 중심으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 진행
  • 메타버스 상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는 동시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교과・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소개하고 이를 확산하고자 노력

 

 

 

메타버스 교육 시사점

실시간 화상수업이나 비실시간 콘텐츠 기반 수업만으로는 학력격차,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부족, 정서적・사회적 역량 증진의 기회 부족 등 원격수업으로 인한 성과의 문제점을 극복하기는 한계 존재함

 

  • 인프라 확충(디지털 디바이스의 부족, 인터넷 연결의 지연, SW 오류), 콘텐츠 확보(다양한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e-콘텐츠), 교원의 디지털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과 변화하는 교수학습내용과 방법에 맞는 평가를 위한 지원도 필요
  • 원격수업이 더이상 대면 수업의 대체품이 아닌 원격수업만의 학습성과 도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
  • 기 교수학습내용을 중심으로 이에 맞는 교수학습방법을 찾는 고정적인 교과 설계가 아닌 발전하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먼저 배우고 이에 맞는 교수학습 내용을 찾는 백워드(backward) 접근의 노력도 필요

 

▶ 자료 원문 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