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수출입 동향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 (7월 1일 발표)

2021. 7. 1. 13:08유용한 정보/경제|사회

반응형

7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2021년 6월 수출입 동향 및 올해 상반기 수출입 동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난 6월 수출은 40%가량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6월만 수출 548.0달러(+39.7%), 수입 503.6억 달러(+40.7%) 증가했습니다. 6월 수출입 동향의 주요 의미 및 상반기 총정리 지표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해당 동향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 및 무역통계(KITA)를 기초로 2021년 6월 및 상반기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이며,  전체 수출입 실적 및 주요 품목별 수출실적(MTI 기준)은 6월 30일까지의 통관실적 잠정치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2021년 6월 수출입 동향

6월 수출입 주요 개요, 6월 품목별 수출 실적과 9대 주요 지역 수출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수출) 6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39.7% 증가한 548.0억 달러
  • (수입) 6월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40.7% 증가한 503.6억 달러
  • (무역수지) 6월 무역수지는 44.4억 달러 흑자 (14개월 연속 흑자)
  • (품목) 15대 주력 품목의 수출이 모두 플러스
  • (지역) 9대 주요 지역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

15대 주력 품목은?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화학, 석유제품, 철강, 선박, 무선통신기기, 차부품, 섬유,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가전, 컴퓨터

 

  • 6월 품목별 수출 실적(억 달러, %)
구 분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자동차 철 강 석유제품 차부품
수출액 111.6 47.1 46.4 40.5 31.2 29.5 19.6
증감률 34.4 21.5 68.5 62.5 51.7 79.6 108.2
선박 디스플레이 컴퓨터 바이오헬스 섬 유 무통기기 이차전지 가전
19.5 16.7 14.3 13.3 11.3 10.5 8.1 7.6
41.2 28.2 16.6 13.5 36.8 3.5 39.4 47.6

 

  •  6월 지역별 수출 실적(억달러, %)
구 분 중 국 미 국 EU* 아세안
수출액 130.8 87.1 52.1 88.2
증감률 14.3 51.9 65.3 37.5
일 본 중남미 중 동 CIS 인 도
25.8 25.4 13.2 13.4 11.7
39.6 106.5 21.5 24.6 100.2
브렉시트 전환기간이 종료되면서(20.12.31), EU 회원국은 28개국에서 영국 제외 27개국으로 변경
 
※ 상기 증감률 +65.3%영국 제외 27개국과의 수출 증감률

 

 

 

2. 2021년 6월 수출입 주요 특징

상반기 기준으로 수출과 수입 및 교역 모두 역대 1위를 차지한 6월 수출입 동향의 주요 특징 5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6월 수출은 40%가량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8개월 연속 증가
  • 월 수출액은 역대 6월 최고치를 경신하며, 4개월 연속 500억 불 돌파
  • 10년 만에 15대 모든 품목이 동시 플러스
  • 전통 주력 산업과 新산업이 고르게 역대급 수출액을 기록
  • 10년 만에 9대 주요 지역으로의 수출이 모두 두 자리 증가

 

특징 별 세부 사항을 살펴보면,

  • 6월 수출액(548.0억 달러)은 역대 6월 사상 최고의 수출액이자, 역대 모든 달과 비교 시에도 세 번째로 높은 실적
  •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넘어섰는데, 연중 4번 이상 500억 달러를 상회했던 해는 ’ 18년(연수출액 1위)과 올해 뿐 
  • 15대 품목 중 7개 품목이 6월 역대 수출액 1~2위를 기록하는 등 기저효과를 배제한 月수출액 측면에서도 대부분 품목이 선전  
구 분 전통 주력산업 新산업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 컴퓨터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21.6월 수출액(억불) 111.6 47.1 46.4 40.5 31.2 14.3 13.3 8.1
역대 6월 수출 중 순위 1 1 1 5 2 2 1 1

 

 

 

  • 반도체는 견조한 메모리 수요에 힘입어 12개월 연속 증가, 수출액은 올해 최고치를 경신하며 ’18년 이후 처음으로 2개월 연속 100억 달러 돌파, 역대 6월 수출액 중 1위 (올해 제외, 月수출액 100억 불은 ’ 18년이 유일)
  • 우리 수출액 2, 3위 품목이자 경기 민감품목인 일반기계와 석유화학은 세계 경제회복의 흐름 속에* 6월 역대 1위 月수출액을 달성
    * (일반기계) 주요국 경기 회복의 신호인 건설・공작기계의 수출이 호조세
    * (석유화학) 자동차, 건설 등 전방 산업의 수요가 급증
    ⇒ 우리 수출 1, 2, 3위 품목이 모두 역대 6월 수출액 중 1위 기록

 

3.  2021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상반기 수출입 동향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반기 수출액은 사상 첫 3,0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1위 차지
  • 상반기 수출 증가율은 11년 만에 최고치 기록
  • 다른 글로벌 교역 위기 시보다 가장 빠르고 강하게 반등
  • 역대 세 번째로 15대 품목이 모두 증가
  • 9대 지역 중 8개 시장으로의 수출이 증가하며, 수출 지역 다변화
  • 수출 경기 호조로 수입과 교역액 모두 상반기 1위 기록

 

상반기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억 달러,%,관세청)

구 분 ‘20년 ‘21년
상반기 1 2 3 4 5 6 상반기
수 출 2,405.2
(△11.3)
480.1
(+11.4)
447.1
(+9.3)
537.3
(+16.4)
512.3
(+41.2)
507.5
(+45.6)
548.0
(+39.7)
3,032.4
(+26.1)
수 입 2,298.9
(△9.0)
443.2
(+3.7)
422.2
(+14.2)
496.2
(+18.7)
507.9
(+33.9)
478.1
(+37.9)
503.6
(+40.7)
2,851.1
(+24.0)
교 역 4,704.1
(△10.2)
923.3
(+7.6)
869.3
(+11.6)
1,033.6
(+17.5)
1,020.1
(+37.5)
985.7
(+41.8)
1,051.5
(+40.2)
5,883.5
(+25.1)
무역수지 106.3 36.9 25.0 41.1 4.4 29.4 44.4 181.2

 

4. 2021년 상반기 수출 선전의 원동력

최근에 OECD와 World Bank는 금년도 세계교역 성장률 전망을 크게 상향 조정한 바 있으며, WTO 통계에 따르면, 수출 20 대국의 1~4월 누계 수출이 모두 증가하는 등 실제로도 전 세계 교역이 회복 중입니다. 세계은행과 OECD의 성장률 전망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OECD World Bank
기존전망(‘20.12월) 재전망(‘21.5월) 기존전망(‘21.1월) 재전망(‘21.6월)
3.9% 8.2% 5.0% 8.3%

 

우리 수출 품목의 경쟁력과 질적 성장 또한 수출 선전의 큰 원동력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 반도체・자동차・디스플레이・선박 등 기존 주력 품목들은 품목 內 고부가가치 상품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질적 고도화가 이루어 짐
  • 특히 시스템 반도체(반도체), 친환경차(자동차), OLED(디스플레이)는지난해 연간 수출액이 모두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데 이어,
  • 올 상반기까지 수출액은 지난해 상반기 수출액을 20% 이상 상회하며, 모두 상반기 역대 1위를 차지
  • 선박의 경우에도 고부가가치船*의 올해 상반기 수출액은 지난해 대비 +37% 증가했으며(35.9→49.2억 불), ‘21.5월까지 전 세계 고부가 선박 발주량의 60%를 수주(통상 수주에서 최종 건조까지는 1~3년 소요)
  • * 고부가가치선 : VLCC(20만 DWT↑), 대형 컨테이너선(1.2만 TEU↑), 대형 LNG운반선(174㎦↑)
  • 바이오헬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유망 新산업들도 역대 상반기 수출액 최고치를 경신

실제 ’ 18년에는 반도체가 수출 증가액(전년 대비)의 57%를 차지하며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면, 올해는 모든 품목이 아래 표와 같이 골고루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상위 3개 품목의 수출 증가 기여율 비교>

  18년 상반기 21년 상반기
반도체 석유제품 석유화학 소 계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소 계
수출 증가액(억불) 183.9 56.1 29 269 102.7 88.1 78.5 269.4
증가 기여율(%) 57.0 17.4 9.0 83.4 16.4 14.1 12.5 43.0

 

이 같은 수출 선전은 우리 수출 포트폴리오가 1) 현재와 미래의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동시에 2)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경기 회복에 따라 빠르고 강하게 반등했기 때문입니다.

  현재와 미래의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 전통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
 
(세계경기 회복에 따라
빠르고 강한 반등)
비대면 경제
활성화
보건, 환경에
대한 강조
K-culture
품 목 반도체, 컴퓨터,
가전
바이오헬스,
전기차, 이차전지
농수산식품(K푸드)
화장품(K뷰티)
중간재(기계, 석유화학 등)
소비재(자동차, 무선통신기기 등)

 

보다 자세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에 올라온 보도자료 원문을 참고하거나 아래 첨부파일을 열어 전문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보도자료 3보) 210701_수출입과 21년 6월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11시 엠바고) (최종).hwp
1.17MB

 

▼ 참고글

경기 회복 전망한 KDI 5월 경제동향

산업별 업황 파악을 위한 수출입 동향 보도자료 읽기

ESG 평가지표 의미와 글로벌 지표 소개

 

 

 

반응형